재난 이후, 선택된 공동체의 시작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으로 서울이 폐허가 된 후,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은 황궁 아파트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재난 드라마입니다. 흥행보증 수표라 불리는 배우 이병헌과 박보영 박서준 김선영 배우의 입체적인 연기력은 시작은 극도로 절망적인 상황이지만, 재난 자체보다 그 이후 인간들이 만들어가는 사회와 윤리의 붕괴에 주목하는 영화의 메시지를 잘 전달합니다. 건물이 멀쩡하다는 이유 하나로 난민이 몰려들고, 아파트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철저한 배제를 선택합니다. 이때 등장하는 인물이 이병헌이 연기한 ‘영탁’입니다. 그는 외부인들을 막기 위해 스스로 임시정부 ‘대표’가 되며 공동체를 통제하려고 합니다. 초반에는 생존을 위한 질서라는 명분 아래 공동체가 조직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안에서도 차별과 폭력이 드러납니다. 물과 식량은 특권이 되고, 힘 있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불균형은 점점 커집니다. 영화는 이 모든 상황을 리얼하게 묘사하며, ‘공동체’라는 단어가 과연 정의로울 수 있는가에 대해 질문을 던집니다. 황폐해진 외부보다 더욱 차가워진 내부의 인간 군상은 진정한 재난이 무엇인지 역설적으로 보여줍니다. 재난과 생존앞에서의 인간은 절대악도 절대 선도 될수 없음을 영화는 보여줍니다. 또한 현재의 우리사회의 모습도 투영되어있습니다. 우리모두는 콘크리트 유토피아라 불리는 아파트에 집착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영화는 수많은 건물중에 왜 하필 황궁아파트라는 네이밍의 아파트 한채만 남긴 지진을 묘사했을까요? 상가나 빌라 단독주택일수도 있었는데 아파트만 폐허가 된 서울에서 건재하다는걸 보는 저는 매우 씁쓸했습니다. 저 살아남은 황궁아파트의 의미는 소위 말하는 똘똘한 한채를 부르짖는 요즘 우리의 모습은 아닐까요? 똘똘한 한채를 갖지 못한 나는 물과 식량이 없어서 시시때때로 황궁아파트를 노리는 저들이 아닐까? 똘똘한 한채만 가질수 있다면 뭐라도 할수있지 않을까? 별별 생각이 다 들었지만 아마 영화를 보는 모든이들도 저랑 비슷한 생각을 하셨을것도 같습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뛰어난 점은 단순히 재난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재난이라는 극한의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 본성의 민낯을 조명한다는 점입니다. 평소에는 착하고 이타적인 사람들도, 생존이라는 절박한 조건 앞에서는 쉽게 폭력과 냉정함으로 바뀝니다. 영화 속 주민들은 처음에는 공동체를 위해 희생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만이라도 살아야 한다”는 이기심이 조직 전체를 장악합니다. 이병헌은 이기심과 리더십 사이를 절묘하게 오가는 연기를 보여주며, 관객에게 ‘나였어도 저랬을까?’라는 자문을 유도합니다. 박서준과 박보영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현실과 타협하거나 양심을 지키려 애쓰며, 인간의 다양한 본성과 도덕적 갈등을 대변합니다. 영화는 단순히 영웅을 세우거나 악인을 단죄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모두가 조금씩 무너져가는 과정, 모두가 피해자이자 가해자가 될 수 있는 현실을 냉정하게 그립니다. 이러한 서사는 관객에게 지속적인 긴장감과 자아 성찰을 안겨주며 깊은 몰입을 유도합니다.
‘유토피아’의 붕괴와 생존 윤리의 해체
제목 속 '유토피아'는 아이러니 그 자체입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 속 아파트는 외형상 안전한 천국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오히려 디스토피아에 가깝습니다. 영탁이 이끄는 아파트 공동체는 처음엔 안전한 피난처로 작동하지만, 곧 권력화되고 독재로 변질됩니다. 타인을 배제하며 시작된 질서는 결국 내부의 폭력과 분열로 이어지며 무너집니다. 이 과정에서 영화는 '윤리'라는 개념조차 생존 앞에서 무력해지는 현실을 조명합니다. 주민들은 점점 더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고, 가족이라는 최소 단위마저 붕괴됩니다. 이 상황을 통해 영화는 관객에게 묻습니다. “우리는 과연, 생존을 위해 어디까지 무너질 수 있는가?” 영화 후반부에서 밝혀지는 충격적인 진실과 클라이맥스는 그간 쌓아온 긴장감을 폭발시키며, 단순한 재난 영화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그 어떤 괴물보다 인간이 더 무서울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사회 심리극이자, 시대를 반영한 강렬한 은유입니다.